원숭이두창 예방 및 행동수칙 안내
1. 원숭이두창(Monkeypox) 질병 개요
잠복기
|
5~21일(보통 6~13일)
|
전파경로
|
- 인수공통감염병(사람과 동물 사이 전파되는 감염병)
- 동물→사람, 사람→사람, 감염된 환경→사람으로 전파
|
비말
|
코, 구강, 인두, 점막, 폐포에 있는 감염비말에 의한 사람 간 직접 전파
|
공기
|
바이러스가 포함된 미세 에어로졸을 통한 공기전파 가능하나 흔하지 않음
|
피부병변 부산물
|
감염된 동물·사람의 혈액, 체액, 피부, 점막병변과의 직간접 접촉
|
매개물
|
감염환자의 체액, 병변이 묻은 매개체(린넨, 의복 등) 접촉 통한 전파
|
병원소
|
감염된 야생 동물(원숭이, 다람쥐, 감비아 자이언트 쥐 등) 등
|
치명률
|
3~6%
|
임상증상
|
발열, 두통, 림프절병증, 요통, 근육통, 근무력증 등을 시작으로 1~3일 후에 얼굴 중심으로 발진증상 보이며, 원심형으로 신체 다른 부위(특히 사지) 확산, 구진성 발진은 수포, 농포 및 가피 등으로 진행되며 특정 부위 발진은 대개 같은 진행 단계인 것과 림프절 종대가 특징, 증상은 약 2~4주 지속
|
진단
|
검체(혈액, 피부병변조직, 피부병변액, 가피 등)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
|
특이사항
|
임상증상이 비슷한 수두, 홍역, 옴, 매독 등과 감별 진단 중요
|
치료
|
대부분 자연 회복, 대증치료(증상만 치료)
|
예방
|
두창바이러스와 구조가 비슷하여 두창백신으로 교차면역반응 유도함
약85%의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
|
2. 원숭이두창(Monkeypox) 예방 및 행동 수칙
일반적인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
|
- 마스크 착용 및 개인적인 위생(손 씻기 등) 수칙 준수
- 오염된 손으로 눈, 코, 입 등 점막 부위 접촉 삼가
- 치료, 간호, 이송 시 적절한 개인 보호구 착용 및 관리조치 적절 수행
|
원숭이 두창 발생지역 방문 시 주의사항
|
- 방문 전, 원숭이 두창 발생지역 확인
- 아프리카 등 발생지역에서 설취류(다람쥐 등), 영장류(원숭이 등), 동물사체 접촉금지 및
이들의 야생고기를 다루거나 먹지 않기
- 원숭이 두창 (의심)환자와 접촉 금지
· 원숭이두창 의심 증상을 가진 사람과 접촉금지
· 원숭이두창 의심 증상을 가진 사람의 물건 등과 접촉 금지
· 원숭이두창 발생지역 야생동물 접촉금지
|
원숭이두창 발생지역 방문 후 주의사항
|
- 귀국 후 21일 간 발열 및 기타 관련 증상이 있을 시, 질병관리청 콜센터(☏1339)로
먼저 상담 문의
- 귀국 후 검역 시 검역관에게 반드시 건강상태질문서 제출
|